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사회1부 최주현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) <br>저희가 제목을 스토킹 살인범의 두 얼굴로 적었는데요. 스스로가 오래 계획했다고 말했다던데 재판장에서 아주 순한 양이었다고요? <br> <br>A) <br>재판에선 반성하고 선처를 구하는 모습을 보이면서, 다른 편에선 범행을 구상했는데요. <br> <br>전모 씨는 지난해 2월 재판에 넘겨진 이후, 피고인 신분으로 재판에 직접 출석했습니다. <br> <br>이 과정에서 지난 5월 재판부에 반성문을 3차례 내는데요. <br><br>하지만 범행 당일 영상을 보면 반성하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. <br> <br>피해자의 근무 시간을 신당역에서 스무 정거장 떨어진 구산역에서 미리 확인한 뒤 범행에 앞서 신당역 일대에서 1시간 넘게 기다리기도 했죠. <br><br>현재로선 재판에 성실히 임하고 반성하는 태도가 본심과는 달랐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. <br> <br>Q) <br>전 씨가 피해 여성에게 보낸 문자들을 저희가 취재를 했잖아요. 여성 입장에서는 정말 섬뜩했을 것 같아요. 돈도 요구하고, 협박도 하고요. <br> <br>A) <br>2019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, 전 씨가 피해자에게 문자 등으로 연락한 횟수가 수사기관이 파악한 것만 372건입니다. <br> <br>취재를 해보니 피해자가 전 씨를 고소한 전후로 내용이 달라졌는데요. <br> <br>첫 고소 전만 해도 "연락할 수 있게 해달라"는 부탁처럼 보였는데, "목숨을 스스로 끊겠다, 불법영상물을 유포하겠다" 등 협박 강도가 점점 세집니다. <br> <br>피해자가 2차 고소를 한 뒤로는 "미안하다, 내가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" 같은 반응을 보였습니다. <br><br>경찰이 오늘부터 전 씨의 통신 기록 분석에 나섰는데, 재판 결과를 유리하게 이끌려고 피해자에게 합의를 요구하다 일이 잘 풀리지 않자 범행을 계획했는지, 이런 동기 부분도 수사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Q) <br>여성 입장에서는 경찰에 신고를 했는데도 결과적으로는 별 소용이 없었던 셈 같아요. <br> <br>A) <br>가장 안타까운 부분입니다. <br> <br>용기를 내서 신고도 하고 고소도 한 피해자가 보복성 범죄로 끝내 목숨을 잃었기 때문인데요 <br><br>취재해보니, 피해자가 경찰에 112신고를 한 게 지난해 10월 초입니다. <br> <br>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된 직후라서 경찰이 전 씨에게 서면경고장을 전달했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이 경고장을 받은 전 씨는 오히려 피해자에게 불법영상물 유포로 협박하며 1억 원을 요구합니다. <br> <br>피해자가 고소장을 접수했지만 신변보호는 한 달 뒤 끝났고, 구속영장도 기각된 전 씨는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으며 계속 피해자를 괴롭힐 수 있었습니다. <br><br>스토킹 가해자 처벌만큼이나 보복 범죄를 막을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Q) <br>대책 마련하겠다. 대통령, 총리, 장관 다 이야기하잖아요. 뭘 하려고 합니까. <br> <br>A) <br>어제오늘 사이 여러 대책이 쏟아지고는 있습니다. <br> <br>법무부는 스토킹처벌법의 반의사불벌죄 규정을 없애겠다고 나섰는데요. <br><br>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으면 재판에 넘길 수 없는 범죄에서 스토킹처벌법을 빼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피해자가 다녔던 서울교통공사는 어젯밤 급하게 "국무총리 지시사항에 맞게 재발 방지 아이디어를 제출하라"라고 공지했다가 안팎의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) <br>끝으로 서울시의원 '신당역 살인' 발언이 논란이에요. <br> <br>A) <br>오늘 이상훈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의원이 가해자 전 씨에 대해 "좋아하는데 안 받아주니 폭력적인 대응을 한 것 같다"며 "안타깝다"는 취지의 발언을 했는데요 <br> <br>시민들은 "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공감하고 있다", "어떻게 저런 사람이 시정에 참여하느냐" 같은 날선 비판을 쏟아 냈습니다. <br><br>숨진 피해자는 물론 유족의 마음을 멍들게 하는 2차 가해에 대해선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